재투자 위험, reinvestment risk, 채권, 미국채,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 채권사다리
- 경제
- 2024. 6. 30. 13:34
재투자 위험이란
재투자 위험 Reinvestment risk은 만기된 증권에서 나온 수익금을 원래 투자보다 낮은 이자율로
재투자해야 하는 위험을 말합니다.
제가 처음에 재투자 위험이란 말을 들었을 때 이 무슨 말도 안되는 용어인가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는데요.
이자가 나오면 다시 투자하면 되지 그게 무슨 위험한 일인가 하는 생각이 했더랬습니다.
2023년에 이자가 한창 높아져서 1금융권 이자도 4% 이상에 오르게 됩니다.
그 때 2년 정기예금을 할지 1년 정기 예금을 할지 고민하다가 1년짜리 정기예금을 들었는데
2024년이 되니 1금융권 금리는 3% 로 툭 떨어졌습니다.
제가 위험한 ? 선택을 했던 것이죠.
일반적으로 재투자 위험은 채권투자에서 알아야 할 용어이긴 하지만 금리변동이 심한 경우에는
누구나 알고 있으면 큰 힘이 되는 것 같습니다.
재투자 위험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더 두드러집니다:
- 이자율이 하락하는 경우
- 투자 기간이 길고, 투자자가 정기적인 재투자에 의존하는 경우
주로 단기채(T-Bill)를 보유하는 투자자들에게 재투자 위험과 관련된 우려 사항은 다음과 같은데요.
- 이자율 하락: 이자율이 하락하면 새로운 국채의 수익률이 만기된 국채보다 낮아집니다.
- 빈번한 만기: 국채는 1년 이내에 만기되므로 재투자 결정을 더 자주 내려야 합니다.
재투자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분산 투자
미국의 채권 Treasury 는 단기채 (T-Bills), 중기채(notes), 장기채(bonds)로 나뉩니다.
이를 혼합해서 보유하면 유동성, 소득 안정성, 재투자 위험 사이의 균형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 단기채(T-Bills): 유동성이 뛰어나고 이자율 변동위험이 낮지만, 재투자 위험이 높습니다.
- 중기채(Notes, 1~10년): 국채보다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며 중간 기간 동안 안정적인 소득을 제공합니다.
- 장기채(Bonds, 10 년 이상): 일반적으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며 장기적인 소득에 적합하지만 이자율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의 위험이 상당히 높습니다.
그러나 2024년 6월 현재 미국채는 단기채가 장기채보다 이자율이 높은 상태입니다.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의 최적 비율
최적의 배분은 개개인의 투자 목표, 위험 감수 성향, 투자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을 위한 여러가지를 고려해야 하겠는데요.
- 위험 감수 성향: 낮은 위험 감수 성향: 단기채와 중기채에 더 높은 배분중등도 위험감수 성향: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의 혼합높은 위험감수 성향: 장기채와 중기채에 높은 배분
- 투자 기간:
- 소득 필요:
높은 소득을 위해서는 중기채나 장기채가 필요하다고는 했지만 ,
이전처럼 금리가 낮은 상태에서 중장기 채권을 샀다가 지금처럼 금리가 오르는 상황이 오는 경우는
수익을 더 잃기가 쉽고 중장기 채권에서는 상당히 손해를 보게 됩니다.
투자를 할 때는 자신이 가진 상품에 대해서 이해가 필요하겠지만 특히 중, 장기채는 채권에 대한 깊은 이해 필요한 걸로 보입니다.
예시 배분 전략
- 보수적 접근:
- 균형적 접근:
- 공격적 접근:
최종 고려 사항
- 정기적인 재평가: 이자율 변동, 재무 목표, 시장 상황의 변화에 따라 정기적으로 배분을 검토하고 조정을 해야함.
계단식 전략 , 채권사다리 ( Laddering Strategy) :
다양한 만기의 채권에 투자하는 계단식 채권 전략을 고려할 수 있음.
이는 재투자 위험을 관리하고 안정적인 소득 흐름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에 걸쳐 보유 자산을 분산함으로써
유동성, 소득 안정성, 재투자 위험 사이의 균형을 달성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투자 전략과 위험 감수 성향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있어서는 수익을 올리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자신의 위험 감수 정도 risk tolerance 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국은 잠을 푹 잘수 있는 게 더 중요할 테니까요.
저는 금융전문가가 아니며, 이 글은 개인적인 경제 공부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